기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단식 8일째인 27일 밤 의식불명 상태에 빠져 병원 이송
"의식 되찾았으나 긴장 못풀어"
청와대 앞6에서 8일째 단식하던
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지난 27일 밤
응급실로 이송되었다.
황 대표는 27일 오후 11시께
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 설치된
농성 텐트에서 의식을 잃었다.
결국 그날이 생각보다
일찍 왔습니다.
단식의 끝은 쓰러지고 의식을
잃어야 그 목적을 달성하니까요.
꼭 이런식으로 단식을 해야 했는지
아직도 의문이 듭니다.
자유 한국당은 협상도 없고
무조건 법 절차를 무시하고
국회가 아무것도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.
단식할 결연한 자세로
죽을 힘을 다해 협의하고 협상하면
국민들이 더 좋게 보지 않을까요.
시대에 맞지도 않는 단식으로
여러사람 피곤하게 하고 있으니
그 끝은 어떻게 될까요.
암울하기만 합니다.
텐트에 있던 부인 최지영 여사가
황 대표의 의식불명 상태를 알아채고
의료진에게 알렸다.
의료진은 황 대표를 들것에 실어 텐트 밖으로 옮겼다.
긴급 호출된 구급차가 그를 태워
신촌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송했다.
황 대표는 병원 응급실에서 검사와
조치를 받은 뒤 일반 병실로 옮겨졌다.
그는 28일 새벽에 의식을 회복했다고
김명연 수석대변인이 전했다.
김 수석대변인은 현장 브리핑에서
"간신히 바이털 사인(vital sign: 호흡·맥박 등 살아있음을 보여주는 징후)은 안정을 찾았다"
"일단 위험한 고비는 넘겼는데, 긴장을 풀 수는 없는 상황"이라고 밝혔다.
"황 대표가 간신히 눈을 뜨고 (사람을) 알아보는 정도의 기초적인 회복이 돼 있는 상태"
"저혈당과 전해질 불균형 문제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"고 말했다.
황 대표는 뇌부종으로 이어질 수 있는
전해질 불균형 수치가 현재 '경계선'이라고
김 수석대변인이 설명했다.
신장 기능도 급격히 저하돼 최근
사흘째 단백뇨가 나오고 있다.
황 대표는 지난 20일 청와대 앞 분수대
광장에서 패스트트랙(신속처리안건)에 오른
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(공수처) 설치법안과
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의 철회를 요구하며
단식농성에 돌입했다.
이들 법안 가운데 선거법 개정안은 한국당의 반대에도 이날 국회 본회의에 부의됐다.
황 대표 주위 인사들은 추위 속에 밖에서
잠을 자는 '노숙 단식'에 우려를 보이며
중단을 권유했지만, 황 대표는 이날까지도
단식을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.
나경원 원내대표는 병원에서
"야당 대표가 오랜 시간 추위에서 단식을 이어갔는데
이 정권은 어떠한 반응도 없었다"
"정말 비정한 정권이다. 얼마나 많은 사람이 외쳐야 반응이라도 할 것인가"
박맹우 사무총장은
"우리는 당연히 단식을 말릴 테지만, 황 대표의 의지가 워낙 강해 의식을 차리면 단식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"고 예상했다.
당내에선 황 대표가 쓰러지면서
투쟁 노선이 더 강경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.
황 대표의 요구 조건들이 전혀
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것이다.
단식 끊고
정신차려라
황교안
언제까지 투정을 받아줘야 하나!
'시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럼프 탄핵소추안 하원 가결! 트럼프답다! (0) | 2019.12.19 |
---|---|
한국당 필리버스터에 눈물 흘린 '민식이법' 국회 본회의 무산 (0) | 2019.11.30 |
이철희의원 검사 블랙리스트 주장 (0) | 2019.10.15 |
나경원 "검찰개혁 동요 메들리에 분노! (0) | 2019.10.06 |
홍준표 나경원아들 국적 공개하라! 민경욱 내부총질 비판! (0) | 2019.09.22 |